Study/정보처리기사

정보처리기사 실기 7강 - 통합 구현①

상맹 2021. 9. 25. 20:10
반응형

1. 연계 요구사항 분석

 -   서로 다른 두 시스템 · 장치 · 소프트웨어를 이어주는 중계 역할을 하는 연계 시스템과 관련된 요구사항을 분석하는 과정

 -  사용자 인터뷰 및 면담을 통해 식별되고 시스템 구성도, 테이블 정의서, 코드 정의서 등 참고

 

 1.1 연계 요구사항 분석 참고문서

  ① 개체(Entity) 정의서

   - 데이터 베이스 개념 모델링 단계에서 도출한 개체의 타입과 관련 속성, 식별자 등의 정보를 개괄적으로 명세화한 정의서

  ② 테이블(Table) 정의서

   - 논리 및 물리 모델링 과정에서 작성하는 설계 산출물

   - 테이블을 구성하는 컬럼들의 특성, 인덱스, 업무 규칙을 문서화한 것이다.

   - 컬럼의 특성은 컬럼명, 데이터 타입, 길이, 널 여부, 키 여부, 디폴트 값 등을 의미

  ③ 인터페이스(연계) 명세서

   - 인터페이스(연계) 정의서에 작성한 인터페이스 ID 별로 송수신하는 데이터 타입, 길이 등 인터페이스 항목을

     상세하게 작성

  ④ 인터페이스 명세서 구성요소

   - 송신 시스템과 수신 시스템 간의 인터페이스 방식, 주기 등을 기록한 현황을 작성

주요 항목 설명
인터페이스 ID - 인터페이스를 구분하기 위한 식별자, 명명 표준에 맞게 부여
- 일반적으로 인터페이스 식별 성을 강화하기 위해 업무 분류 코드와 연속 번호를 같이 활용
최대 처리 갯수 - 단위 시간당 처리될 수 있는 해당 인터페이스 최대 수행 건수
데이터 크기
(평균/최대)
- 해당 인터페이스 1회 처리 시 소요되는 데이터의 평균 크기와 최대 크기
시스템 정보
(송수신 시스템 각각 작성)
- 시스템명, 업무 명, 서비스명/프로그램ID, 연계 방식, 담당자/연락처
데이터 정보
(송수신 시스템 각각 작성)
- 번호, 필드, 식별자 여부, 데이터 타입, 데이터 크기, 널 허용 여부, 항목 설명, 조건, 매핑 규칙,      총길이(Total Length), 추출 조건/ SQL

 

 1.2 연계 요구사항 분석 절차

  ① 시스템 현황 확인 → ② 정의서 확인 → ③ 체크리스트 작성 → ④ 인터뷰 및 면담 → ⑤ 연계 요구사항 분석서 작성

 

 1.3 연계 시스템 구성

구성 내용
송신 시스템 - 연계할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와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연계 테이블 또는 파일형태로 생성하여
  송신하는 시스템
수신 시스템 - 수신한 연계 테이블 또는 파일의 데이터를 수신 시스템에서 관리하는 데이터 형식에 맞게 변환하여
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거나 애플리케이션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시스템
중계 서버 - 송신 시스템과 수신 시스템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연계 데이터의 송수신 현황을 모니터링
  하는 시스템
- 연계 데이터의 보안 강화 및 다중 플랫폼 지원 등이 가능

 

2. 연계 메커니즘

 - 응용 소프트웨어와 연계 대상 모듈 간의 데이터 연계 시 요구사항을 고려한 연계 방법과 주기를 설계하기 위한 메커니즘

 

 2.1 연계 메커니즘 기능

  - 데이터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송신 시스템과 송신 데이터를 수신하여 DB에 반영하는 수신 시스템으로 구성

  - 송신 시스템은 운영 데이터베이스,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연계 데이터를 연계 테이블 또는 파일로 생성하여 송신

  - 수신 시스템은 송신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변환 처리 후 데이터베이스에 반영

 

 2.2 연계 방식

  ① 연계 방식의 분류

구분 직접 연계 간접 연계
장점 - 연계 및 통합 구현이 단순하며 용이
- 개발 소요 비용 및 기간이 짧음
- 중간 매개체가 없으므로 데이터 연계 처리
  성능이 대체로 좋음
- 서로 상이한 네트워크, 프로토콜 연계 및 통합 가능
- 인터페이스 변경 시에도 장애나 오류 없이 서비스 가능
- 보안이나 업무 처리 로직을 자유롭게 반영 가능
단점 - 시스템 간의 결합도가 높아 시스템 변경에 민감
- 암 · 복호화 처리 불가
- 연계 및 통합 가능한 시스템 환경이 제한적
- 연계 아키 텍처 및 메커니즘이 복잡해 성능 저하 요소 존재
- 개발 및 적용을 위한 테스트 기간이 상대적 장기간 소요

  ② 주요 연계 기술

구분 연계 기술 설명
직접
연계
DB 링크 - 데이터베이스에서 제공하는 DB 링크 객체를 이용
- 수신 시스템에서 DB 링크를 생성하고 송신 시스템에서 해당 DB 링크를 직접 참조하는 방식
→ 테이블명@DBLink명
DB 연결 - 수신 시스템의 WAS에서 송신 시스템 DB로 연결하는 DB 커넥션 풀(DB Connection Pool)을 생성
  하고, 연계 프로그램에서 해당 DB 커넥션 풀 명을 이용하여 연결
→ 송신시스템의 Data Source = DB Connection Pool 이름
API/Open API - 송신 시스템의 DB에서 데이터를 읽어서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프로그램
- API명, 입출력 파라미터 정보가 필요
JDBC - 수신 시스템의 프로그램에서 JDBC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송신 시스템 DB와 연결
- DBMS 유형, DBMS 서버 IP와 Port, DB 인스턴스(Instance) 정보가 필요
Hyper Link 현재 페이지에서 다른 부분으로 가거나 전혀 다른 페이지로 이동하게 해주는 속성
→ <a href="url"> Link 대상 </a>
간접
연계
연계 솔루션
(EAI)
- 기업에서 운영되는 서로 다른 플랫폼 및 애플리케이션들 간의 정보 전달, 연계 통합을 가능하게
  해주는 솔루션
- 송수신 시스템에 설치되는 어댑터를 이용
Web Service/
ESB
- 웹 서비스가 설명된  WSDL과 SOAP 프로토콜을 이용한 시스템 간 연계
소켓
(Socket)
- 소켓을 생성하여 포트를 할당하고,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연결하여 통신
→ TcpServer.listen();

 

반응형